세계에서 가장 외딴 무인도, 부베 섬(Bouvet Island)

세계에서 가장 외딴 지역인 트리스탄다쿠냐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트리스탄다쿠냐는 '세계에서 가장 외딴, 「사람이 사는」 지역'이다.

그렇다면 단독으로 외롭게 있는 세계에서 가장 외딴 무인도는 어디일까.


반경 1600km 내에 바다뿐인 무인도, 부베 섬(Bouvet Island)

 

면적 49㎢인 부베섬은 기원전 2000년에 발생한 화산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섬으로 표면의 93%가 빙하로 뒤덮여 있다.

▲ 부베섬의 위치

위치상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남서쪽으로 2,600km 떨어져 있으며 가장 가까운 육지는 남극대륙의 퀸 모드 랜드(Queen Maud Land)로 1,700km 떨어져 있다. 또 트리스탄다쿠냐 제도의 고흐섬과는 남쪽으로 1,600km 떨어져 있다.

즉 부베섬을 중심으로 1,000마일(약 1,600km) 반경의 원을 그리면, 그 안에는 바다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완벽하게 홀로 고립된 섬인 것이다.

▲ 2004년작 에이리언 vs 프레데터는 고립된 부베섬을 배경으로 한다. 실제촬영은 다른 곳에서 하였다.

*퀸 모드 랜드(Queen Maud Land):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한 노르웨이의 탐험가 아문센은 남극으로 가는 길에 발견한 땅과 산맥에 노르웨이의 모드(Maud) 왕비의 이름을 붙였다. 그래서 남극에는 퀸 모드 랜드와 퀸 모드 산맥(Queen Maud Mts.)이 생겼다.



최초의 발견

 

노르웨이 하면 '북유럽의 조용한 복지국가라'는 이미지가 있는데, 이 노르웨이가 바로 세계에서 가장 외딴섬의 소유국이다.

1739년, 프랑스의 탐험가 쟝 바티스트 샤를 부베 드 로지에(Jean-Baptiste Bouvet de Lozier,1705~1786)는 항해 중 남대서양의 외딴섬을 발견하였다. 하지만 그는 탐험 중 본 육지가 섬인지, 대륙의 일부인지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했고 위치도 부정확하게 기록해서 훗날 그의 기록으로 따라간 탐험대들은 섬을 발견할 수 없었다.

세월이 흘러 이곳에 가장 처음 상륙했다고 주장한 사람은 1808년 영국 포경선의 선장 제임스 린제이(James Lindsay)였고 그는 섬에 자신의 이름을 따 '린제이 섬'이라는 이름을 붙였다. 1822년에는 미국의 탐험가 벤자민 모렐(Benjamin Morrell)이 이곳을 발견하였다고 주장했지만 사람들에게 표면이 빙하로 덮인 섬의 모습을 묘사하지 못하면서 실제로 이곳에 갔는지는 현재도 물음표로 남아있다.

▲ 빙하로 덮인 부베섬

이후 1825년 10월 25일, 영국 포경선이 섬에 상륙하며 리버풀 섬이라는 명칭을 부여했고 이를 근거로 소유권을 주장하였다. 하지만 1927년 노르웨이 하랄 호른트베트(Harald Horntvedt, 1879~1946) 원정대가 부베섬에 한 달간 머무름으로써 가장 오래 체류하였기 때문에 섬에 대한 소유를 주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.

▲ 1927년 12월, 상륙한 노르웨이 탐험대

결국 섬은 1929년 11월 공식적인 상륙과 긴 체류기간이 인정된 노르웨이의 소유가 되었고, 최초 발견자인 부베의 이름을 따서 섬의 명칭은 '부베섬(노르웨이어: Bouvetøya)'으로 정해졌다.

 

부베섬의 혹독한 환경

 

섬에서 가장 높은 곳은 올라브토펜(Olavtoppen) 화산으로 해발 780m이고, 배가 정박할 수 없는 섬의 지형상 유일하게 헬기로 입도할 수 있는 곳이다.

▲ ISS에서 촬영한 부베섬

유일하게 서식하는 동물은 펭귄과 바다새, 바다표범 등으로 특히 바다새들의 서식지로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조류서식지 보호를 위한 국제기구인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(BirdLife International)에 의해 중요조류지역(Important Bird Area)으로 지정되었다.

▲ 남부바위뛰기펭귄 (Southern rockhopper penguin)과 바다표범

조류와 바다표범의 보호구역으로도 유명하지만 근해는 풍부한 양의 남극크릴새우 산지로 알려져 있다.

노르웨이는 2008년 60만 톤 이상의 남극크릴새우를 무차별 어획하며 2009년 UN으로부터 어획구역 제한조치의 굴욕을 당하기도 하였다. 크릴새우는 고래의 주요한 식량이어서 남획은 결국 고래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징계의 원인이었다.

▲ 크릴새우. 섬의 배타적 경제수역은 441,163㎢에 이른다.

현재 거주는 물론 연구목적으로도 섬에 머물러있는 사람은 없다. 전화나 전기는 전혀 사용할 수 없고 섬의 기상이 워낙 급변하는 데다가 지진이나 태풍으로 구조물들이 몇 달을 버티기가 힘들기 때문이다.

▲ 부베섬 지도

1970년대 이후 노르웨이 탐험대가 비정기적으로 방문해 기상관측과 지질조사를 하고 있으며 1985년 3월에는 섬의 기상이 사상 최대로 맑아 최초로 섬 전체를 공중에서 촬영할 수 있었다. 이로써 발견 247년 만에 처음으로 섬의 정확한 지도가 만들어졌다.

▲ 노르웨이 원정대가 남기고 온 타임캡슐

한편 2012년 2월 노르웨이 한세(Hanse) 원정대는 부베섬의 정상인 울라브토펜봉에 오른 최초의 사람들이었다. 이들은 등반 후 50년 후인 2062년에 개봉할 타임캡슐을 정상에 묻고 내려오기도 하였다.


부베섬을 둘러싼 미스터리

 

■ 1. 의문의 구명보트

이처럼 사람의 흔적이 전혀 없는 곳이기에 미스터리한 사건도 발생했는데, 대표적인 것이 보급품들이 담긴 구명보트가 섬에서 발견되었지만 인간의 흔적은 찾을 수 없었던 '유령 보트 사건'이었다.

▲ 해안가의 의문의 보트

1964년 4월 2일, 영국왕립해군의 HMS 프로텍터(HMS Protector)가 이곳에 도착해 헬리콥터로 입도했다.

탐험을 시작한 앨런 크로프드(Allan Crawford)는 불과 몇 분 만에 바다표범 군락에 버려진 의문의 보트를 발견했다. 보트는 반 정도 물에 잠겨있었지만 물에 뜰 수 있을 만큼 상태는 멀쩡했다.

▲ 가까이에서 본 보트

앨런 크로포드는 보트에서 국적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식을 전혀 발견하지 못했고 근처를 수색했지만 조난자나 시체의 흔적도 없었다. 다만 해변에 의문의 드럼통과 구리 상자 등이 펼쳐져 있었는데 45분간의 짧은 체류시간 동안만 머물 수 있었던 그는 의문만 가진채 철수했다.

탐험대는 이 보트를 포경선 또는 여객선의 구명보트로 추정했지만 당시 현장에서 1,500km 이내에는 어떤 항로도 운용되고 있지 않았다. 만에 하나 1,500km 밖의 배에서 내린 구명보트라면 어떻게 내비게이션도 없이 부베섬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도 의문이었다. 1500km의 바다에서 조그만 섬을 찾아 정박한다는 것은 백사장에서 바늘을 찾는 것에 가까운 일이기 때문.

또 기적적으로 찾았다 할지라도 파도가 거칠고 높기로 유명한 남극해의 바다에서 살아남은 것까지 기적에 기적을 더해야 가능한 일이었다. 심지어 보트에는 돛과 엔진도 없이 노만 존재했으며 생존자가 해변을 향해 간 징후가 있었지만 그 이후의 흔적은 전혀 없었다.


이 미스터리의 설명 중 오늘날 가장 유력한 것은 소련 탐험대의 이야기이다.

1958년 11월 27일, 소련의 선박이 조류연구를 위해 포경선 슬라바-9호(Slava-9)를 타고 부베섬을 방문했다. 겐나디 솔랴닉(Gennady Solyanik)이 1959년에 작성한 '부베섬의 조류 관찰'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, 탐험대는 솔랴닉을 포함해 총 10명이었다.

그런데 도착 직후 허리케인이 부베섬을 덮치면서 이들의 귀환은 불가능해졌고 예상치 못하게 3일간 머물러야 했다. 허리케인이 지나간 후 이들은 슬라바-9호에 있던 Mi-1MG 헬기를 타고 대피하며 구명보트는 버리고 갔다는 것이다. 당시 헬기 조종사 에버랸 르젭스키(Averyan Rzhevskiy)가 이 대피작전에 대해 1972년 소련의 잡지에서 언급하기도 하였다.

하지만 의문의 드럼통과 장치는 여전히 미스터리였는데 이는 1962년 아마추어 무선(HAM) 애호가인 거스 브라우닝(Gus Browning, 1908~1990)이라는 사람이 남긴 것으로 밝혀졌다.

▲ 거스 브라우닝과 그가 부베섬에서 남긴 신호

1962년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DX-pedition(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이국적인 지점을 찾아가는 탐험)을 위해 부베섬을 방문한 브라우닝은 큰 가솔린 드럼통을 가져와 안테나를 접지하는데 사용했다.

할 일을 한 브라우닝은 별일 없이 쇄빙선을 타고 귀환했는데 아마 그도 소련 탐험대가 남긴 보트를 발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. 하지만 무선통신이 급한 그에게 이 미스터리는 별로 중요한 것은 아니었고 단지 구명보트에 있던 구리 상자를 꺼내 무선통신장치를 설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했다.


결국 두 가지 해프닝이 겹치면서 이중의 미스터리가 만들어진 것이었다.


■ 2. 의문의 폭발

또 1979년 9월 22일에는 인공위성에 의해 부베섬에서 섬광이 관측되었다. '벨라 사건(vela incident)'으로 명명된 이 폭발(South Atlantic Flash)로 공기 중 방사능이 검출되었다.

▲ 벨라 위성

당시 핵실험을 감시하는 벨라 위성(Vela Hotel satellite 6911)에 따르면 인도양 부근에서 강렬한 섬광 패턴이 관측되었고, 잠시 후 특이하고 빠른 속도의 전리층 교란이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감지되었다. 같은 시간 미 해군의 수중음향 감시체계(SOSUS)에도 관측되며 무엇인가 폭발이 있었던 게 확실한 상황이었다.

결국 폭발 관측 이후 방사능이 검출된 것으로 핵폭발이라는 결론에 이르렀고, 용의자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이스라엘의 공동 핵실험을 비롯해 소련, 인도, 프랑스가 거론되었지만 관련국들은 철저히 부인하였다.


- 최초등록: 2012.12.02.
- 최종수정: 2021.08.15.
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